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SDDC

[vSphere] VM의 E1000E와 VMXNET3의 성능 차이 본문

VMware

[vSphere] VM의 E1000E와 VMXNET3의 성능 차이

ikhwan.koo 2018. 10. 27. 17:10

vSphere에서 VM의 네트워크 어댑터로 주로 E1000E와 VMXNET3가 사용된다. E1000E의 경우 물리적인 세계에서는 1gbps NIC 카드다. 즉, 최대 1gbps의 전송속도를 갖는다. 그러나 VM의 세계에서는 논리적인 NIC이기 때문에 E1000E와 VMXNET3 모두 속도 제한이 없다. 호스트의 성능에 따라 최대 전송속도가 달라진다. 또한 VMXNET3의 경우 같은 상황에서 더 성능이 좋다고 한다.

구체적으로 최대속도는 어떻고, 성능은 어떤지 실험해 보았다.

MTU 1500인 경우 내부 전송

같은 조건에서 E1000E에 비해 VMXNET3의 전송량이 2배 이상 많다.
  • E1000E : 4.15gbps

  • VMXNET3 : 11.2gbps


   

MTU 9000인 경우 내부 전송

E1000E는 MTU 크기 증가에 따른 전송량이 많이 증가하나, VMXNET3은 큰 차이 없다.

  • E1000E : 6.93gbps (10초 전송) / 6.47gbps (600초 전송)
  • VMXNET3 : 11.6gbps (10초 전송) / 12.2gbps (600초 전송)


   

CPU 사용율(MTU 9000)

VMXNET3의 전송량이 많은 만큼 CPU 사용량도 증가한다. 그러나 전송용량의 증가폭(약 1.8배)에 비해 CPU 사용량 증가는 적다.
  • E1000E : 최대 38.31%
  • VMXNET3 : 최대 51.89%

   

참고

  • Parrot Security OS의 경우 E1000E와 VMXNET3 드라이버는 모두 자동인식
  • Parrot Security OS 설정에서 MTU 값의 경우 "자동"으로 인식하지 못해서 수동으로 9000 으로 설정
  • 가상 스위치도 MTU 9000 으로 설정



Comments